핵심구약역사
1.이스라엘의 포로시대
1)애굽(BC1706-1491) : 430년간/ 구원자는 모세/ 전체 구원
2)앗수르(BC722) : / 구원 없음
3)바벨론(BC606-536) : 70년간/ 구원자는 고레스/ 부분적인 구원
4)시137편을 읽어보자.
2.바벨론 포로는 유다의 신앙을 매장하는 무덤만은 아니었다.
도리어 영적 능력을 추구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유대 백성이 바벨론 포로에서 얻은 유익을 무엇인가?
1)성전을 극복할 수 있는 메시아 신앙을 갖게 됨
2)말씀에 순종할 수 있는 기회(안식의 원리)
3)회당 중심, 말씀중심 신앙(제사를 극복하는)
4)유대교의 세계적인 전파
3.그리운 고국으로!
성경이 분명하게 가르치는 진리 중의 하나는 남은 자의 사상이다. 그루터기는 완전히 뽑히지 남아 있도록 보존을 받는다. 하나님의 자비는 끝이 없다. 이사야의 사상 중에 중요한 것이 남은 자의 개념이다. 순수한 하나님의 백성은 항상 남아 있다.
4.포로귀환은 포로와 같이 3단계로 이루어졌다.
당시 인도자와 그들의 업적에 대해 생각해 보자.
1)1차 귀환 : 스룹바벨/ 주전 536/ 귀환 숫자는 42,360명/ 성전 재건과 완공/ 에스라1-6장
스룹바벨이 귀환했을 때 예루살렘은 폐허가 되었다. 성전도 없었다. 성전을 짓는데 사마라아인의 동참을 반대해서 약 15년간 공사가 지연된다. 그러나 하나님은 학개와 스가랴 두 선지자를 세워서 성전 공사에 불을 붙었다.
2)스룹바벨 성전이 완공되고(스3-4장/왕하17:24) 노인들의 감격과 그 슬픔은?
3)2차 귀환 : 에스라/ 주전 458/ 5400명 귀환/ 개혁운동/ 에스라7-10장
바벨론에 있던 유대인은 율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것을 지도하는 서기관이라는 계급이 생겼다. 에스라는 돌아와서 잡혼한 사람들을 꾸짖으며 개혁운동을 일으켰다(113명의 국제 결혼자)
4)3차 귀환 : 느헤미야/ 주전 445/ 성벽의 완공/ 느헤미야
5.시인과 선지자
1)시편의 주인 그리스도란 말을 들어 본적이 있는가?
2)잠언에 나타난 그리스도. 잠언의 “지혜”는 그리스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3)전도서의 “헛되고 헛되다”는 말에 대한 대답은 무엇이겠는가?
4)아가서는 그리스도인과 교회에 대한 주님이 사랑을 묘사하고 있다.
5)선지자는 무엇을 외쳤나? 『모든 것이 잘되고 있을 때 그들은 심판을 외쳤다. 그러나 일단 심판이 임했을 때, 얕은 낙관주의가 암담한 절망으로 바뀌었을 때 선지자는 오히려 소망에 대해 말했다』(신18:15-22)
번호 | 제목 | 조회수 |
---|---|---|
공지 | 강의 소개와 목차 (강의안 인쇄용 첨부) | 267 |
5 | 제4강 바벨론 포로부터 귀환까지 102 | 704 |
4 | 제3강 가나안 정복부터 분열왕국까지 107 | 649 |
3 | 제2강 출애굽부터 광야생활까지 108 | 619 |
2 | 제1강 천지창조부터 아브라함 언약까지 116 | 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