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신약역사
1.알렉산더에서 예루살렘 멸망에 이르는 정치적 역사적 개요
1)바벨론에 포로와 귀환
*1차 포로 : 주전 605년(다니엘 : 느부갓네살 치하의 바벨론 궁정에서 활동)
*2차 포로 : 주전 597년(에스겔 : 예루살렘 함락 전후 바벨론의 포로들).
*3차 포로 : 주전 586년(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예레미야는 애굽으로 내려갔다)
2)귀환
*1차 귀환 : 주전 538년 스룹바벨의 지도(제 2성전을 건축)
*2차 귀환 : 주전 458년 에스라의 지도(영적 부흥운동)
*3차 귀환 : 주전 444년 느헤미야(예루살렘 성벽 재건)
3)알렉산더는 페르시아를 정복한다(주전 334년).
*예루살렘에 입성하고, 애굽을 정복하고 알렉산드리아를 창건했다(주전 331년).
*인도까지 이르렀으나 32세에 열병으로 죽고, 헬라제국은 여러 장군이 통치하는데, 그중에 가장 강력한 것이 애굽을 통치한 푸톨레미 왕조이고, 다른 하나는 수리아와 그 동편을 통치한 셀루키드 왕조이다.
4)팔레스틴은 애굽과 수리아 사이에서 번갈에 통치를 받는다. 주전 320년에 푸톨레미1세에 의해 애굽에 합병되어 122년 동안 지배를 받는다. 그러나 주전 198년 셀루키드의 안티오쿠스3세가 팔레스틴을 애굽에서 빼앗아 합병한다. 주전 175년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가 통치한다.
5)마카비의 반란으로(주전 167년) 100여 년 동안 독립을 쟁취하다. 마키비는 늙은 제사장 마타디아스의 셋째 아들이다. 주전 164년 12월에 성전이 봉헌되었다(유대인의 수전절). 마카비는 전쟁(주전 160년)을 해서 수리아로부터 독립을 얻었다. 로마의 속국이 되기까지(주전 63년) 약 80년간 독립을 얻었다.
6)로마의 폼페이는 주전 63년에 예루살렘을 함락시켰다. 유대는 로마의 속국이 되었다.
7)로마는 유대인을 이두메인 헤롯의 통치 하에 두었다(주전 37년). 주전 42년 로마의 안토니가 빌립보 전쟁으로 권세를 얻자, 안티파터의 아들 헤롯을 분봉왕으로 임명했다.
8)헤롯1세는 헬라화 정책을 급속히 추진했다. 정치가로는 유능했으나 가정생활은 불행했다.
헤롯 1세가 죽은 뒤 유언대로 세 아들에게 나누어졌다. 아겔라오는 팔레스틴 남부, 빌립은 북동쪽, 안디바는 갈릴리와 베뢰아 지방을 다스렸다.
9)주후 66년 유대 안에 반란이 일어나서 로마와 전쟁을 했다. 그러나 주후 70년 디도 장군에 의해 예루살렘성은 함락되었다.
2.예수님 당시의 사회상
1)군대 : 로마 군대(가이사랴 주둔)와 헤롯 군대(가버나움)가 있었다.
2)헤롯에게는 제한된 행정권만 주었다. 사형은 총독의 권한이고, 비정치적인 문제는 유대인들에게 주었다.
3)산헤드린 공회 : 최고의 공회이다. 성전 경찰을 가진다. 국경 밖에까지 권한을 미친다.
4)당시 여자들의 신분은 열등했다.
5)결혼은 조혼이었으며, 결혼은 정혼식과 잔치와 결혼 예식으로 이루어진다.
6)이혼에 대해서, 샴마이 학파는 아내의 부정으로 해석하고, 힐렐학파는 남편을 불쾌하게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7)유대인들은 순수한 혈통을 강조해서제사장과 레위인과 온전한 이스라엘인으로 구분했다.
8)부정한 직업이 있다고 생각했다. 세리나 당나귀 몰이군, 행상인, 피장, 목자 등이다.
9)개종자에는 문의 개종자(할례를 받지 않은 자)와 의의 개종자로 구분한다.
3.팔레스틴의 문화적 종교적 배경
초대교회 당시 문화는 크게 셋으로 나눈다. 첫째는 헬레니즘이고, 둘째는 유대교이고,
셋째는 로마의 제국주의이다.
<헬레니즘>
1)로고스 : 헤라클리투스는 오직 변하지 않은 것은 우주에 있는 영원한 질서의 원리인 로고스뿐이라고 했다.
2)플라톤의 이데아 개념 : 물질세계는 보이지 않은 이데아의 세계의 그림자에 불과하고, 참으로 존재하는 곳은 이데아의 세계이다. 여기에 이원론이 있다.
3)영지주의 : 인간이 구원을 받으려면 물질세계를 부정하고 보이지 않은 세계를 찾아야 한다. 하나님은 물질세계를 창조할 수 없다. 영은 깨끗하고 물질은 더럽고 실재하지 않는다.
4)신플라톤주의 : 영적 생활은 지적 노력이 아니라 무한자와의 신비한 연합으로 이루어진다. 성육신 교리와 조화할 수 없다.
5)에피쿠리안주의 : 세계는 원자가 우연히 결합된 것이다. 최고의 선은 쾌락이다. 쾌락은 고통이 없는 상태이다. 지혜를 찾는 사람들에 의해 얻는다(행17:18).
6)스토아철학 : 우주는 절대 이성에 의해 지배된다. 절대 이성에 일치된 생활이 최고의 선이다. 감정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 완전한 자기 절제를 삶의 목적으로 보았다. 기독교 윤리와 비슷하나 실제는 아니다.
<유대교>
1)유대교의 기원 : 에스라에서 시작된다. 1세기 당에 팔레스틴 인구는 약 150-200만이고, 유대인은 약 1/3이다.
2)바리새파 : 주전 2세기에 핫시딤(경건한 사람들)에서 유래되었다. 온건한 힐렐파와 엄격한 샴마이파가 있다.
3)사두개파 : 마카비 때 정치에 참여한 권력층이다. 제사장 가문이나 귀족 지주의 후손들이다.
|
바리새파(초자연주의자) |
사두개파(자연주의자) |
역사관 |
하나님의 예정 |
예정 부인, 개인 자유 강조 |
종말론 |
영혼의 불멸과 육체의 부활 |
부인 |
영적 존재 |
천사와 악마 믿음 |
부인 |
종교적 권위 |
구약과 미쉬나 |
오경만 믿음 |
4)에센파 : 바리새파 보다 엄격한 분리주의자이다. 약 4천명으로 사해 서쪽 광야에 있었다.
5)서기관과 랍비들 : 구약을 해석하며 가르치는 전문가이다. 율법사나 교사라 부른다. 대부분 바리새인이다. 회당을 중심으로 가르치고, 율법을 생활에 적용시킨 결과로 발전된 것이 미쉬나와 탈무드이다.
6)흩어진 유대인들과 회당 : 잡혀간 유대인들은 대개가 머물렀다. 헬라문화를 수용하였다. 회당을 발전시키고, 70인경을 번역하였다.
<로마의 제국주의>
*언어 : 라틴어와 헬라어이다.
*건축 : 벽돌과 몰타르
*종교 : 다신론(아폴로 머큐리 마르스 비너스 다이아나). 이방종교에 관용적이다.
*기독교 박해 : 황제 숭배와 영원한 제국의 환상이 네로 황제부터 박해로 나타난다.
4.팔레스틴의 지리적 배경과 기후
1)이스라엘은 크게 사마리아, 갈릴리, 유대, 요단동편 등 4지역으로 나눈다.
2)건기와 우기
번호 | 제목 | 조회수 |
---|---|---|
공지 | 강의 소개와 목차 (강의안 인쇄용 첨부) | 219 |
7 | 제6강 바울의 3차 선교여행 83 | 575 |
6 | 제5강 바울의 2차 전도여행 90 | 520 |
5 | 제4강 사도 바울 91 | 572 |
4 | 제3강 초대 그리스도의 교회 92 | 547 |
3 | 제2강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 97 | 571 |
2 | 제1강 팔레스틴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배경 98 | 658 |
댓글